미국주식투자의 기본 알아보기(현금흐름표)

발행일 : 2025-04-30 05:43  

안녕하세요.

2019년 겨울부터 미국 주식에 빠져있는 미국주식수집가입니다.

 

이번 3~4월은 유난히 바쁘고 일이 많은 느낌입니다.

하지만 5월 초 연휴를 기다리는 기쁜 마음으로

현금흐름표에 대한 이야기를 이어가보겠습니다.

 

현금흐름표는 기업에서 실제로 들어오고 나가는 현금흐름을 기록한 표입니다.

만약 선생님께서 열심히 일해서 돈을 벌었다고 가정해볼게요.

 

1) 17일에 들어오는 월급, 각종 외부 교육을 통한 수당은 영업현금흐름에 해당합니다.

2) 대출을 상환하거나 추가 대출을 받는 것은 재무현금흐름에 해당합니다.

3) 주식을 매입하거나 매도해서 현금의 유출입이 생기는 것은 투자현금흐름에 해당합니다.

만약 자기 관리를 위해 꼭 필요한 현금이 나가는 것도 투자현금흐름에 속합니다.

4) 영업현금흐름에서 꼭 필요한 투자(Capex, 자본지출)를 하고 남는 현금이 잉여현금흐름입니다.

5) 대출을 상환해서 현금이 빠져나가면 마이너스로 기록하고,

대출을 받아서 현금이 들어오면 플러스로 기록합니다.

 

기본적인 내용은 이제 다 이해하셨습니다.

자 이제 바로 실전으로 들어가보겠습니다.

크게 3개의 구역으로 나눴습니다.

 

네 맞습니다.

영업(Operating) / 투자(Investing) / 재무(Financing)현금흐름으로 나눈 것입니다.

여기서 플러스는 현금이 회사측에 들어왔고, (_______) 표시는 마이너스에 해당하며,

회사에서 현금이 빠져나왔다고 보면 됩니다.

 

영업현금흐름(operating cashflow)

 

1) 순이익(Net income) :

영업현금흐름은 순이익에서 시작합니다.

 

2-1) 영업활동에서 현금이 빠져나가지 않는 부분을 조정

(Adjustments to reconcile net income to cash generated by operating activities)

현금이 빠져나가지 않는 부분을 조정해야 합니다.

대표적으로 감가상각비 & 무형자산상각비(Depreciation and amortization)가 있습니다.

회사에서 설비 등의 자산을 구매할 때 이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

 

대차대조표에서 자산 항목 중 현금과 유형자산의 숫자가 우선 바뀌겠지요?

현금 100억이 줄어들고, 유형자산 100억이 생기는 식입니다.

하지만 설비투자를 한 비용을 바로 손익계산서에 반영하면

매년 이익이 큰 변동성을 보일 것입니다.

또한 공장설비는 장기간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장기간 반영할 필요도 있지요.

 

따라서 손익계산서에 비용 항목으로 반영합니다.

감가상각비를 일정한 비율로 잡아서 10~20년 정도의 기간으로 나눠서 비용 반영을 합니다.

감가상각비용은 매년 일정하게 손익계산서에 반영이 되지만 실제로 현금이 나갔을까요?

아닙니다. 따라서 순이익에 해당 상각비용을 더해줘야 합니다.

위에서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 항목을 보시면 3,080(백만)이라고 나와있네요.

이를 더해줘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2-2) 주식기반보상비용 (Share-based compensation expense)

회사의 임직원들에게 주식으로 보상을 지불하면 회사 입장에서는 비용인가요? 이익인가요?

당연히 비용입니다. 미국에서는 엔론 사태 등으로 인해서

회계 기준에 대한 명확한 요구가 있었고,

이를 비용으로 처리하게 되었지요. (공짜 점심은 없습니다.)

하지만 현금흐름차원에서 보자면 현금이 나간 것은 아닙니다.

자사주 매입 소각을 해야 하기에 현금이 나가야 하지만

기준상으로는 현금이 나가지 않을 것으로 인정해줄 수 있습니다.

 

이제 영업자산과 부채의 변화에 따른 현금 증감을 조정

(Changes in operating assets and liabilities)해야 합니다.

철수네 슈퍼마켓은 이번 분기에 재고가 늘어났습니다.

현금은 어떻게 되었을까요?

현금이 재고 상품으로 바뀐 채 진열되어 있으니

철수의 현금은 줄어들었을 것입니다.

이런 식으로 영업자산과 부채의 항목을 살펴보는 것입니다.

 

3-1) 매출채권 Accounts receivable, net

고객에 판매하고, 받아야 할 돈입니다.

매출채권이 늘어나면, 그만큼 현금이 유출되겠지요.

매출채권이 줄었다면, 그만큼 현금은 유입이 되는 구조입니다.

 

3-2) 벤더 비거래 매출채권 Vendor non-trade receivables

벤더(공급업체)가 회사에 갚아야 할 돈을 말합니다.

회사가 물건이나 서비스를 받기 전 벤더에게 먼저 돈을 지불하는 경우가 있는데,

아직 전체 주문을 다 이행하지 않았다면, 해당 항목에서 비거래 매출채권이 발생합니다.

 

3-3) 재고 Inventories

재고의 증감에 따라 영업현금흐름은 영향을 받습니다.

 

3-4) 매입채무 Accounts payable

매입 채무가 늘어나면 현금흐름에 긍정적인 영향이 발생할까요?

지불해야 하는 돈인데, 아직 지불하지 않고 있으니 현금흐름에 긍정적인 요인입니다.

매입채무가 줄었다면 현금흐름에는 마이너스 요인이지요.

복잡하게 다뤘지만 회사마다 세부적인 요소는 다릅니다.

 

코카콜라도 비슷하게 영업현금흐름을 작성하지만 조금 다릅니다.

순이익 / 영업활동에서 현금이 빠져나가지 않는 부분 조정 / 영업자산과 부채 변화에 따른 현금 증감

이렇게 3개의 항목으로 나눈다는 점은 동일합니다.

하지만 영업자산과 부채 변화에 따른 현금 증감은 모두 합산하여 처리하네요.

복잡하지요?

저도 영업현금흐름에서 순이익, 감가 및 감모상각비 정도를 우선적으로 살펴봅니다.

 

투자현금흐름(invasting cashflow)

 

투자 현금흐름에서는 시장성 유가 증권(주로 국채)의 매입, 만기, 매각과 함께

자본적 지출(Capex) 를 우선적으로 살펴봐야 합니다.

marketable securities (시장성 유가증권=국채 및 회사채)

4-1) 매입 Purchases of marketable securities

시장성 유가증권을 매입하면, 현금흐름은 당연히 마이너스가 되겠지요.

4-2) 만기 Proceeds from maturities of marketable securities

회사의 분기, 연간 보고서를 살펴보면,

유가증권은 만기가 1~5년 사이인 비율이 높습니다.

따라서 만기가 도래하는 유가증권도 상당히 많을텐데 모두 현금흐름에 플러스가 됩니다.

4-3) 매각 Proceeds from sales of marketable securities

매각하면 투자현금흐름에 플러스가 기록이 되겠습니다.

5) 유형자산투자 Payments for acquisition of property, plant and equipment

투자 현금흐름에서 가장 신경써야 하는 항목입니다.

PP&E 라고 부르는 공장, 설비와 같은 유형자산을 매입하는 비용에 해당합니다.

설비투자가 늘어나면, 투자 현금흐름에 마이너스가 기록이 되겠습니다.

업종에 따라 해당 비율이 달라지는데,

영업현금흐름을 거의 다 쏟아부어야 하는 업종이라면 곤란하겠습니다.

영업현금흐름에서 5)번 항목인 Capex를 차감하면 잉여현금흐름(Free CashFlow)이 나옵니다.

 

재무현금흐름(invasting cashflow)

 

재무 현금흐름에서는 주로 자사주 매입, 배당금 지급 등의 비중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한 기업이라면 재무현금흐름이 마이너스가 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즉 영업현금흐름에서 현금 유입이 발생하면, 이를 투자와 재무로 지출하는 식이지요.

6-1) 배당금 지급 Payments for dividends and dividend equivalents

배당을 지급하면 현금이 빠져나갑니다.

자사주 매입을 활발하게 하는 기업은 배당률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지요.

6-2) 자사주 매입 Repurchases of common stock

자사주 매입은 적절한 가격에서 하는 것이 좋지만

내재 가치 등은 따지지 않고, 막대한 규모로 하는 기업이 많습니다.

임직원에게 주식 기반 보상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때문에

자사주 매입을 하지 않으면, 주식 수량이 늘어나게 되겠네요.

7) 대출금 상환 Repayments of term debt

말하지 않아도 잘 아는 개념일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를 눌러서

다른 분들도 이 글을 보고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해주세요.

 

 

 

댓글(0)

이모티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