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방송연구대회의 작품 스타일은 점점 더 다변화되고 있습니다. 준비하는 참가자들 또한 다양한 주제와 스타일로 이야기를 풀어나가며, 각자의 방식으로 도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연수를 들으시는 많은 분들에게 가장 도움이 되는 것은 다양한 경험과 노하우를 가진 수상자들의 이야기를 들어야 합니다. 왜 그런지 이야기 해볼까요?
----------------------------------------
첫 번째 유형은 학생 실천형입니다. 이 유형의 작품들은 개인이 직접 실천할 수 있는 행동을 중심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환경 보호, 정리 정돈, 건강한 습관과 같은 주제들이 다루어졌으며, 실천 과정을 영상으로 기록하거나 그 결과를 분석하는 방식이 주로 활용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줄이기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그 과정에서의 어려움과 변화를 보여주는 형식이 대표적인 사례였습니다.....
[중략] 알아두면 무조건 앞서가는 교육방송연구대회 건틀렛 V3.0 중 발췌
전국 1등급을 비롯한 연구대회 10회 수상과 매년 많은 선생님들의 작품 피드백을
통해 무엇이 선생님들에게 필요한 교육방송연구대회 연수인지 알게되었습니다.
아래에 해당하시는 선생님이 들으시면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교육방송연구대회를 준비해야하는데 무엇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는 선생님
- 주변에 물어볼 사람이 없어 막막한 선생님
- 대략적인 주제는 떠오르는데 그 다음 단계가 막막한 선생님
- 촬영과 편집을 어떻게 해야 할지 감을 잡지 못하는 선생님
- 대회의 심사 기준에 대한 정보를 얻고 싶은 선생님
- 많은 수상자들로부터 노하우를 듣고 나의 스타일에 접목시키고 싶은 선생님
- 기획부터 제작까지 단계별로 체계적인 접근을 하고 싶은 선생님
- 효율적으로 시간을 관리하며 대회를 준비하고 싶은 선생님
|
수상자 10인이 전하는 교육방송연구대회 체크포인트
교육방송연구대회 작품에서 주제를 풀어가는 스토리텔링 방식도 다양합니다. 단편영화형, 다큐멘터리형, 탐구형, 토론대화형, 뉴스 리포트형, 애니메이션그래픽기반형등 다양합니다. 그렇다면 주제도 다양하고 스토리텔링도 참가하시는 선생님마다 다릅니다. 선생님들이 자신에게 맞는 주제와 스토리텔링방식을 찾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례를 접해야 합니다.
본 연수에서는 전국 1등급 수상자 4인을 비롯한 다양한 수상자들이 각기 다른 주제와 스타일로 제작한 작품의 핵심 노하우를 공유합니다. 이를 통해 참가자들은 자신의 강점과 스타일에 맞는 전략을 정하고, 실전에 적용할 수 있는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 연수 개요
연수명: 수상자 10인이 알려주는 교육방송연구대회 체크포인트
일시: 2025년 3월 22일 (토) 10:00 -13:00
장소: 경기도 과천시 과천대로2길 54, 그라운드 브이 1층 비상홀
대상: 교육방송연구대회 참가 희망 교사
● 연수 일정
09:30 ~ 10:00 | 연수 등록
10:00 ~ 13:00 | 2025년 교육방송연구대회 운영계획 안내와 수상자 10인이 알려주는 교육방송연구대회 체크포인트
● 연수 내용
2025년 교육방송연구대회 운영계획을 바탕으로, 전국 1등급 수상자 4인을 비롯한 수상자 10인의 경험과 노하우를 공유하는 연수입니다.
수상자들이 실제 준비 과정에서 중요하게 적용했던 부분과 실행 방안을 중심으로 구성됩니다.
-2025년 교육방송연구대회 운영계획에서 꼭 짚어봐야 할 핵심 사항
-수상자가 해석한 심사 기준과 효과적인 적용 방법
-수상자만의 차별화된 기획과 콘텐츠 구성 노하우
- 참가자 질의 응답
● 본 연수는 교육방송연구대회를 준비하는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기획되었습니다. 수상자들의 생생한 경험과 실전 노하우를 통해 차별화된 콘텐츠를 준비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