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쌤의 교실나눔 4학년 2학기 3단원 의견을 모아서([9-10차시]의견과 이유가 드러나게 제안하는 글 쓰기)

발행일 : 2025-10-22 15:11  

  • 진쌤의 교실나눔 4학년 2학기 3단원 의견을 모아서(9-10차시의견과 이유가 드러나게 제안하는 글 쓰기진쌤의 교실나눔).pptx
  • 학교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한 제안 청문회 대본(진쌤의 교실나눔).hwp

✔ 학습 목표: 의견과 이유가 드러나게 제안하는 글을 쓸 수 있다.

아이들의 제안이 세상에 반영될 수 있다는 희망을 심어주어, 단순한 글쓰기를 넘어 주도적인 시민의 경험을 선사하는 시간입니다.

 

1. 동기 유발: 생활 속 제안으로 바뀐 사례

우리 주변에서 실제로 아이디어가 정책으로 반영된 사례를 보며, 제안하는 글쓰기의 영향력을 체감하게 합니다.

  • 활동 내용

- 환경미화원 안전 작업복 개발: 밤에 일하는 환경미화원들이 눈에 잘 띌 수 있도록 LED 키트가 부착된 작업복이 개발되어 정책에 반영된 사례를 살펴봅니다.

- 골목길 안심 보행 시스템: 한밤중 골목길에 스마트 LED 등을 설치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지킨 사례를 통해, 아이들의 아이디어가 사회를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보여줍니다.


2. 첫 번째 활동: 제안하는 글을 쓸 때 주의할 점을 알고 글로 써보기

제안하는 글의 구성 요소와 주의할 점을 확인하고, 문장의 짜임을 다듬으며 실제 글쓰기를 진행합니다.

  • 활동 내용

- 생각할 것 정리: 제안할 때 '문제 상황 파악', '누구에게 제안할지', '어떤 방법으로 제안할지' 세 가지를 다시 한번 확인합니다.

- 글쓰기 주의점: 글을 쓸 때 **'문장의 짜임에서 어색한 부분'**을 고치는 활동을 통해 논리적이고 정확한 표현을 연습합니다.

- 글 작성: 앞서 구상했던 내용을 바탕으로, 의견과 이유가 명확히 드러나도록 제안하는 글을 직접 작성해 봅니다.

 

3. 두 번째 활동: 제안하는 글을 전달하는 방법 알아보기

제안하는 글이 실제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 누구에게, 어떤 방법으로 전달해야 하는지 그 경로를 모색합니다.

  • 활동 내용

- 전달 경로 고민: 내가 쓴 제안이 학교의 문제라면 '학교 건의함'이나 '학생회'에게, 지역 사회 문제라면 '주민센터'나 '구청'에게 전달할 수 있음을 알아봅니다.

 

 

. 세 번째 활동: 우리가 바꾸는 '제안 청문회'

토의와 제안하는 글쓰기 능력을 모두 활용하여, 학교 쓰레기 문제와 같은 구체적인 사안에 대해 아이디어를 발표하고 검토하는 활동을 합니다.

  • 활동 방법

- 청문회 역할 나누기: 발표자(제안자), 심사위원(검토자) 역할을 나누어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아이디어 발표: '학교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한 각자의 아이디어를 구체적인 이유와 함께 발표합니다.

- 평가 및 개선: 심사위원들은 제안의 실현 가능성, 효과, 논리성 등을 평가하고 개선할 점을 피드백합니다.

 

자세한 것은 진쌤의 교실나눔 : 네이버 블로그 을 참고해주세요.

댓글(0)

이모티콘